반응형

세금 3

내 세금은 어떻게 쓰이나? 세금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안녕하세요 슬기로운 직장생활 블로그 운영자입니다^^ 세금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해서는 기재부에서 발표하는 예산계획 자료를 보면 대충 알 수 있습니다. 매년 계획을 세우고, 배정하고 그걸 소진하는 것이 목표인 기관들이 돈을 펑펑 씁니다. 그리고 특별편성이라도 하게 되면 채권을 찍던 추경을 하던 해서 돈을 또 펑펑 씁니다. 그러다 문득, 내 몫의 여분이 남아있을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과연 이놈의 국가는 매년 세금을 걷어서 쓰고, 어떤 해는 걷는 돈보다 더 많이 쓰는데.. 내가 일하는 동안 낸 세금은 나의 노후를 위해서 쓰일 만큼 보전될 수 있을까요? 가까운 예로, 국민연금을 꾸준히 내는데, 이 연금도 보장이 될까요? 노후 대비를 각자 하라는 대한민국이지만, 꾸준히 낸 내 세금을 적립했다가 노후에..

<투자 > 미국 ETF 세금 정리

안녕하세요 슬기로운 직장생활 블로그 운영자입니다^^ 2023년부터는 세금이 오른다고 하네요.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아니라서 장기적으로는 해외상장 etf가 나을 거라고 합니다. 현재는 22%의 양도세(해외) > 국내 etf 배당소득세 (국내) 하지만, 한국이 etf 연보수도 비싸기 때문에 장기투자에는 미국에 상장한 etf가 유리합니다. 종합 : 장기적으로 같은 자산에 투자하는 etf면 미국에 상장한 etf를 사는 게 좋습니다. 단, 연금저축계좌를 통한 투자를 고려한다면 한국에 상장된 해외 etf를 투자할 수 있습니다. 슬기로운 직장생활 블로그의 게시물이 마음에 드신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1. 내 집 마련이 어려운 이유(왜 이 분류를 만들었는지?)

안녕하세요. 슬기로운 직장생활 블로그 운영자입니다. 오늘은 '내 집 마련'이라는 주제의 카테고리를 만들게 되었는데요. 이 글에서는 왜 이 분류를 만들었는지와 어떤 내용을 향후에 게시할지에 대해서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직장인들이 수도권에서 근무합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수도권의 집값은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직장인의 평균적인 연봉 수준의 수십 배 수준이 되어버렸습니다. 직장인의 가처분 수익을 고려할 때는 더욱 절망적이지요. 그리고 또 한가지 문제는 내 집 마련을 위한 자금마련이 어렵게 되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모두가 바라는 아파트) 2008년 금융위기가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생겼기 때문인지, 우리나라의 부동산 정책이 특이한 건지는 정확히 알 수없지만 아무튼 우리나라의 부동산 대출(아파트)은 대출을..

내 집 마련 2020.10.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