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슬기로운 직장생활 블로그 운영자입니다^^
오늘은 종자돈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자에 대해서 쓴 책들에서 공통적으로 말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종잣돈이 있어야 하고 돈이 나를 위해서 일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저축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한다. 사치스러운 생활은 하지 않는다.
내 집마련을 하려고 해도 종잣돈이 필요합니다. 부동산에서 계약을 하려면 계약금이 있어야 합니다. 계약금은 통상 아파트 가격의 10%입니다. 그 돈은 통장에 있어야 뭐라도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재형저축이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이 제도는 3년 이상 저축을 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율을 주고, 7년 이상 저축하면 비과세 혜택까지 주는 저축이었습니다.
이런 훌륭한 저축제도는 지금 ISA라는 괴물로 대체되었죠.
종자돈을 모으기 위해 일단 함정을 피해야 합니다.
피해야 할 함정 : 현금화가 제한되거나, 수수료가 높은 금융상품
예를 들어서 개인연금, 개인 퇴직연금, 연금저축보험, ISA, ISA2 이런 것들을 가입하지 마세요.
내 집 마련을 위한 현금 마련엔 도움이 되지 않는 녀석입니다. 안정적인 노후를 도와준다고 하는데, 수수료가 높아서 자기 뱃속만 불리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판매자 자신의 안정적인 노후를 도와주는 상품인 거죠)
피해야 할 함정 2: 소비의 늪, 최신식 전기제품, 멋진 자동차
APPPLE의 함정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APPLE의 마수에 빠지면 월급이 세어나갑니다. 최신식 휴대폰도 마찬가지입니다. 3년 이상 쓴다는 마음가짐으로 한세대 전의 고사양 기기를 사세요. 그리고 3년 이상 사용하세요. 큰 무리가 없습니다.
멋진 자동차의 함정은 정말 깊습니다. 외제차를 할부금융으로 사는 순간 돈은 모이지 않습니다. 멋있습니다. 현재 멋있습니다. 하지만 차라리 헬스를 하세요. 몸이 멋지고 얼굴이 멋진 게 더 멋있습니다.
피해야 할 함정 3: 쓴 다음 저축하겠다는 마음가짐, 이번 한 번만 하는 마음가짐
남는 돈을 저축해서는 돈을 모으기 힘듭니다. 저축을 먼저 하고 남은 돈으로 생활해야 합니다.
자신의 연봉 수준보다 낮은 소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세요. 그래야 돈을 모을 수 있습니다.
이 번 한 번은 괜찮겠지?라는 마음으로 한번 방심하면 돈이 세어나갑니다.
피해야 할 함정 4 : 한탕주의
한탕, 인생한방 로또 이런 게 되면 너무 멋지겠죠. 하지만 손쉬운 한방은 없습니다. 힘들게 아껴서 모은 돈을 한탕주의에 빠져서 날린다면 진짜 너무나 뼈 아픕니다.(경험담)
자.. 이제 글의 핵심까지 왔습니다. 사실 알고 보면 피해야 할 함정을 잘 피해왔다면 이미 제가 말씀드릴 방법은 크게 필요가 없는 분이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가 드릴 말씀은 손쉬운 저축방법입니다.
1단계 : 나 자신을 알기
- 월급여(세후)와 지출액을 파악한다.
- 매달 지출하지 않지만 정기적으로 지출하는 금액을 파악한다.
- 1번 항목을 통해 고정 지출액과 고정 수입을 파악한다.
- 2번 항목을 통해 비정기적 고정비용과 여유자금(수시입출금식 통장에 필요한 돈)을 파악한다.
* 주의 : 비정기적인 수입은 파악하지 않았다 월급여는 최소 월급여이다. 나머지 금액은 수시입출금식 통장에 여유자금 이상 돈이 모이면 자동으로 저축한다. (임의 적립식 적금 등을 이용)
2단계 : 각오를 확인하고 목표 수준 정하기
- 각오를 확인한다. 어느 정도 참을 수 있는가? 내 연봉 수준보다 얼마나 낮은 소비 수준을 견딜 각오인가
- 얼마를 모으고 싶은가? 그것에 합당한 각오 수준인가?
- 1,2를 통해 각오와 목표금액을 정한다.
- 1단계에서 파악한 월급여-지출액- 비정기적 고정 지출액을 월 단위로 계산한다.
- 내 각오와 목표 수준에서 합의점을 찾아 가능한 매달 적금액을 파악한다.
3단계 : 적금을 가입한다. 단, 여러 개로 나누어 가입한다.
- 적금을 가입하되 여러개로 나누어서 가입한다. (200만 원 적금할 거라면 50만 원씩 4개로 나누어 가입한다.)
- 자동이체를 걸고 적금을 정기적으로 한다. (자동이체 우대금리를 주기도 한다.)
- 수시입출금식 통장에는 일정 금액의 돈을 남겨둔다(버퍼, 수시입출금식 통장이나 cma를 사용한다.)
- 위기 상황이 닥 칠경 우 버퍼로 일단 버티고, 불가능할 경우 여러 개로 나누어 가입했던 적금 중 하나를 깬다.
위의 3단계를 거쳐서 3년을 모으면 자기가 모으려고 했던 목표금액을 모을 수 있다.
통상 자신의 연봉 수준의 돈을 모을 수 있다.
각오가 되어있고 독하게 모은다면 연봉의 1.5배 수준을 모을 수도 있다.
다시 한번 주의사항은 함정을 조심해야 한다.
'내 집 마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3기 신도시 청약일정 알리미 신청 (0) | 2020.11.05 |
---|---|
하남 감일지구 푸르지오 마크베르 분양소식 (0) | 2020.11.03 |
LTV 규제에 대한 생각(영화 뱅커) (0) | 2020.10.29 |
주택담보대출 계산기 활용방법 (0) | 2020.10.29 |